신 은 철
wavewear friends
스피드 클라이밍 국가대표
선수 사이즈 : 173cm, 63kg
착용 사이즈 : 남자레깅스 L20(M), 종아리보호대 C2(S/M), 반바지(S), 팔보호대 F1(M)
자기 소개와 함께 스피드 클라이밍에 대해 설명 부탁 드립니다.
저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스포츠 클라이밍 국가대표 선수이며 그 중에서 스피드 클라이밍 종목의 국가대표 입니다. 현재 공식 기록으로 한국 신기록 5.434초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월드 랭킹 21위 입니다.
제가 선수로 뛰고 있는 스피드 클라이밍 종목은 1대 1 토너먼트 형식으로 15m의 안벽을 누가 더 빠르게 올라가서 위에 터치 패드를 치느냐로 우승이 갈리는 경기 이구요.
16강 토너먼트 형식인데 클라이밍형 육상 종목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상대 간의 심리전도 굉장히 많고 조금의 실수도 용납 될 수 없기 때문에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됩니다.
스피드 클라이밍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클라이밍은 볼더링, 리드, 스피드 이렇게 3가지 종목이 있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10년을 등반하면서 처음 8년 동안은 리드 선수로 있었습니다. 그 후에 스피드 종목이 별도의 종목으로 분리 되면서 스피드 클라이밍을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스피드 클라이밍은 별도로 아시안게임 종목도 있고 파리 올림픽부터 활성화 되는 추세라, 더 좋은 성과를 내보고 싶다는 생각에 스피드 클라이밍으로 전향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스피드 종목 특성 상, 수치적으로 제가 한 단계 씩 업그레이드 하는 게 눈에 보여요. 그래서 정확한 목표치를 뛰어넘었을 때 만족감이 훨씬 더 큰 것 같습니다. 내 한계를 돌파하는 데서 오는 쾌감, 희열감 때문에 계속 더 도전하고 싶게 만드는 것 같아요.
리드, 볼더링, 스피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일단은 몸을 쓰는 것부터 굉장히 다릅니다. 리드 클라이밍의 경우는 지구력을 엄청 요구하는 편이고 꽤나 퍼포먼스적입니다. 루트를 페이스 조절 해가면서 하나하나 헤쳐나가는 식이라고 할까요?
볼더링 같은 경우는 4분 안에 시도 횟수는 적게, 문제를 한 번에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짧은 순간에 뛰어난 판단력으로 퍼포먼스를 보여줌과 동시에 문제를 풀어내기 위한 루트 파인딩(등반 전, 등반 하는 과정에서 루트를 관찰하여 나갈 길을 찾는 기술)을 잘 시뮬레이션 해야 합니다.
스피드 클라이밍은 그에 비해 조금 더 단순한 편이에요. 매번 바뀌는 세팅 때문에 훈련방식을 다양하게 준비해야 하는 리드, 볼더링과 다르게 공식적인 루트가 같거든요. 바람, 날씨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열심히 갈고 닦은 실력을 대회장에서 똑같이 보여주면 되기 때문에 오로지 나의 플레이에만 집중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종목에 비해 부담이 좀 덜한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지금 우리나라 신기록도 모두 5초 초반대로 진입하고 있고 세계 신기록은 거의 4초에 진입할 정도로 엄청나게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사실 15m를 5초 만에 오른다는 것은 생각을 해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연습을 통해 익혀둔 패턴에 따라 몸이 이끌리듯 움직이는 것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피드 클라이밍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따로 하시나요?
저는 민첩한 동작으로 문제를 해결 하는 편이어서 근력 운동의 퍼센티지를 줄이고 유산소 운동과 밴드를 통한 저항 운동, 모빌리티 운동을 통해서 단순히 힘을 잘 쓰는 것보다 몸의 기동성을 높여주려고 노력합니다.
모빌리티 운동은 실제로 잘 안 쓰는 관절의 가동 범위를 벗어나, 조금 더 그 힘을 이겨낼 수 있도록 버티는 힘을 기르는 저항 운동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헬스 할 때도 케틀벨, 랜드마인을 이용하고 맨몸운동, 스트레칭 등 다양한 운동을 많이 시도합니다.
그리고 운동 외로 손 관리를 따로 하기도 합니다. 다친 손가락 관절이 진정 될 수 있게 얼음 물에 손을 담가 놓거나, 욱신거려서 밤에 잠을 못 잘 때는 파라핀 기계로 손 찜질을 해서 회복을 도와줍니다.
대회 출전 시, 멘탈 관리법이 있으신가요?
ifsc 국제 클라이밍 시리즈 월드컵 대회도 참여했었는데 이상하게 국제 대회, 큰 무대일수록 긴장을 더 안 하게 되더라구요. 긴장하면 경기를 준비한 것보다 못 풀어나가게 될 수도 있으니까요.
대회 전날 보통 목욕탕이나 사우나, 찜질방 같은 곳에서 땀을 약간 뺀 후, 개운한 상태로 숙면을 합니다. 그리고 경기 7시간 전에 깨어나서, 가볍게 러닝을 뛰기도 해요. 잘 먹고 잘 쉬고 잘 자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루틴처럼 전날에 유니폼을 깔끔하게 정돈해서 옷걸이에 걸어 놓습니다. 국가대표로서 마음가짐 이랄까요? 무대에 선다는 마음가짐으로 대회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웨이브웨어 제품에 대해 솔직한 피드백 부탁 드립니다.
워낙 운동량이 많다보니 항상 무릎 관절이 뻐근하고 종아리가 당기는 등 밤만 되면 피로감이 확 몰려왔었는데 타이즈를 입고 나서는 몸의 부담이 확 줄어든 게 느껴지더라구요. 제가 그렇게 하체가 좋은 편이 아니라서 더 체감이 잘 되는 것 같습니다.
연습할 때마다 레깅스를 착용하고 있는데 하체 움직임이 굉장히 빨라지고 유연해진 것 같아요. 제가 부가적으로 하는 운동인 유산소 러닝, 하체 강화 운동을 할 때도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잘 잡아줘서 다음날 피로감이 확실히 적고 회복도 빠르게 됩니다.
그리고 이전 레깅스 제품들은 좀 답답하다는 기분이 들었는데 L20은 무릎 뒤쪽에 메쉬처리 같은 것 때문에 활동 할 때 땀이 차는 일도 없더라구요. 그리고 연습 시, 작은 실수라도 큰 부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데 그때 레깅스가 확실히 보호 역할을 해준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도 도움을 받았구요.
앞으로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이제까지 국제대회를 10번 정도 참가했었는데 그 중에서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열린 대회에서 가장 좋은 기록을 세웠습니다.
순위 9위로 5.5초의 기록을 세우면서 그 전까지 깨지지 않고 있던 한국 공식 신기록을 경신했는데 그때 느꼈던 쾌감, 성취감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그 벅찬 감동을 다시 느끼고 싶습니다.
가장 가까운 목표는 내년에 있을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것 입니다. 우선은 출전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좋은 성과를 얻어오고 싶어요.
그리고 중요한 시즌인 만큼 안 다치고 안 아프게 운동 하는 게 목표 입니다. 작년에 부상을 많이 당하는 등 컨디션이 안 좋았어서 올해 만큼은 안전하게 꾸준히 선수로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가장 소중한 일이 되었습니다. 많은 응원 부탁 드립니다.
신은철 (Shin Eun-Cheol)
소속 / 수상경력
~ 2023 현재
스피드 클라이밍 국가대표
2022
남자 산악 국가대표
2018
스피드 클라이밍 국가대표
2022
제 41회 전국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권 대회 남자 스피드부분 2위
(국가대표 선발)
IFSC Climbing World Cup - Jakarta (INA)
Men's Speedclimbing 10th
한국 신기록 갱신 ( 5.434 sec )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전국체전 <산악>
스포츠클라이밍 스피드부분 3위 (동메달)
IFSC Asia - Continental Championship 2022 - Seoul (KOR)
Men's Speedclimbing 11th
2021
제 7회 울주 군수기 전국스포츠클라이밍대회 남자 스피드부분 3위
2020
제31회 광주광역시 전국스포츠클라이밍대회 남자 스피드부분 4위
2019
제주도 체전 대표선발전 스피드부분 3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스피드릴레이부분 후보 선발
2017
제7회 YesGumi 전국스포츠클라이밍대회 남자 일반부 스피드부분 3위
신 은 철
wavewear friends
스피드 클라이밍 국가대표
선수 사이즈 : 173cm, 63kg
착용 사이즈 : 남자레깅스 L20(M), 종아리보호대 C2(S/M), 반바지(S), 팔보호대 F1(M)
자기 소개와 함께 스피드 클라이밍에 대해 설명 부탁 드립니다.
저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스포츠 클라이밍 국가대표 선수이며 그 중에서 스피드 클라이밍 종목의 국가대표 입니다. 현재 공식 기록으로 한국 신기록 5.434초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월드 랭킹 21위 입니다.
제가 선수로 뛰고 있는 스피드 클라이밍 종목은 1대 1 토너먼트 형식으로 15m의 안벽을 누가 더 빠르게 올라가서 위에 터치 패드를 치느냐로 우승이 갈리는 경기 이구요. 16강 토너먼트 형식인데 클라이밍형 육상 종목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상대 간의 심리전도 굉장히 많고 조금의 실수도 용납 될 수 없기 때문에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됩니다.
스피드 클라이밍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클라이밍은 볼더링, 리드,스피드 이렇게 3가지 종목이 있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10년을 등반하면서 처음 8년 동안은 리드 선수로 있었습니다. 그 후에 스피드 종목이 별도의 종목으로 분리 되면서 스피드 클라이밍을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스피드 클라이밍은 별도로 아시안게임 종목도 있고 파리 올림픽부터 활성화 되는 추세라, 더 좋은 성과를 내보고 싶다는 생각에 스피드 클라이밍으로 전향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스피드 종목 특성 상, 수치적으로 제가 한 단계 씩 업그레이드 하는 게 눈에 보여요. 그래서 정확한 목표치를 뛰어넘었을 때 만족감이 훨씬 더 큰 것 같습니다. 내 한계를 돌파하는 데서 오는 쾌감, 희열감 때문에 계속 더 도전하고 싶게 만드는 것 같아요.
리드, 볼더링, 스피드 클라이밍,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일단은 몸을 쓰는 것부터 굉장히 다릅니다. 리드 클라이밍의 경우는 지구력을 엄청 요구하는 편이고 꽤나 퍼포먼스적입니다. 루트를 페이스 조절 해가면서 하나하나 헤쳐나가는 식이라고 할까요?
볼더링 같은 경우는 4분 안에 시도 횟수는 적게, 문제를 한 번에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짧은 순간에 뛰어난 판단력으로 퍼포먼스를 보여줌과 동시에 문제를 풀어내기 위한 루트 파인딩(등반 전, 등반 하는 과정에서 루트를 관찰하여 나갈 길을 찾는 기술)을 잘 시뮬레이션 해야 합니다.
스피드 클라이밍은 그에 비해 조금 더 단순한 편이에요. 매번 바뀌는 세팅 때문에 훈련방식을 다양하게 준비해야 하는 리드, 볼더링과 다르게 공식적인 루트가 같거든요. 바람, 날씨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열심히 갈고 닦은 실력을 대회장에서 똑같이 보여주면 되기 때문에 오로지 나의 플레이에만 집중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종목에 비해 부담이 좀 덜한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지금 우리나라 신기록도 모두 5초 초반대로 진입하고 있고 세계 신기록은 거의 4초에 진입할 정도로 엄청나게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사실 15m를 5초 만에 오른다는 것은 생각을 해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연습을 통해 익혀둔 패턴에 따라 몸이 이끌리듯 움직이는 것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